반응형
오늘은 부가세 신고 방법 및 계산기 사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목차
- 부가세란
- 부가세 계산 방법
- 부가세 신고 및 주의 사항
- 끝으로
부가세란
부가세란?
부가가치세를 줄여서 부가세라고도 불리는 것으로,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발생하는 세금입니다.
- 소비에 대한 과세: 소비자가 소비할 때 발생하는 세금으로 간접세에 해당합니다.
- 가치 창출에 대한 과세: 제품 생산 및 유통부터 소비자에게 제공하기까지 모든 과정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.
- 세금 신고 및 납부: 사업자는 신고 기한내에 납부해야 하며, 소비자는 구매할 때 세금이 포함되어 지불합니다.
- 세액 차이와 환급: 사업자는 매출에서 발생한 세금에서 매입할 때 발생한 세금이 차감되어 세금이 계산됩니다. 만약 매입 세액이 매출 시 발생한 세금보다 더 많을 경우 세금을 환급받게 됩니다.
참고로 올해 10월부터는 반려동물의 질병 예방과 치료를 위해 의료비에 대한 부가세가 면제되었습니다.
[2022년 부가세 신고 현황]
부가세 계산 방법
부가세 계산 공식
부가세 계산기는 여러 포털 사이트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소비 금액이 50만원일 때 공급가액은 454,545원, 부가세액은 45,455원입니다.
소비 금액이 1백만원일 때 공급가액은 909,091원, 부가세액은 90,909원입니다.
부가세 신고 및 주의 사항
부가세 신고 및 납부는 홈택스에서 할 수 있습니다.
1. 홈택스의 세금신고 > 부가가치세 신고 > 일반과세자 신고를 클릭합니다.
일반 정기신고는 일반과세자 > 정기신고 확정/예정 or 세금비서 서비스를 클릭합니다.
일반과세자 신고 일자
아래와 같이 공지된 신고 및 납부기간을 확인해서 기간 내에 신고하면 됩니다.
- 간이과세자의 신고: 1년에 한 번
- 법인사업자: 1월, 4월, 7월, 10월
- 일반과세자 중 개인사업자: 7월(1월 ~ 6월까지의 부가세), 1월(지난해 7월 ~ 12월까지의 부가세)
신고 안내 및 설명
주의 사항
부가세 신고는 기한 내에 완료해야 하며 여러 번 신고가 접수되어도 최종적으로 신고된 것만 적용됩니다.
끝으로
부가세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관리한다면 효율적인 사업 운영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. 기간 내에 꼭 신고하시길 바랍니다.
반응형
'금융 > 세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세 및 지방세 납세증명서 인터넷 발급 (0) | 2023.12.24 |
---|---|
양도소득세 계산기 사용법 및 절세 방법 (0) | 2023.12.21 |
퇴직금 계산기로 퇴직금 세전 세후 계산하기 (0) | 2023.12.20 |
증여세 면제한도 상향(무상증여 혼인증여재산공제) (0) | 2023.12.20 |
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사용법(계산 납부 감면 방법) (0) | 2023.12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