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>
금융/세금

부가세 신고 방법 및 계산기 사용법

by 생활의 에센스 2023. 12. 21.
반응형

오늘은 부가세 신고 방법 및 계산기 사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
 

부가세 계산기

 

목차

  1. 부가세란
  2. 부가세 계산 방법
  3. 부가세 신고 및 주의 사항
  4. 끝으로

부가세란

부가세란?
부가가치세를 줄여서 부가세라고도 불리는 것으로,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발생하는 세금입니다.

 

  • 소비에 대한 과세: 소비자가 소비할 때 발생하는 세금으로 간접세에 해당합니다.
  • 가치 창출에 대한 과세: 제품 생산 및 유통부터 소비자에게 제공하기까지 모든 과정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.
  • 세금 신고 및 납부: 사업자는 신고 기한내에 납부해야 하며, 소비자는 구매할 때 세금이 포함되어 지불합니다.
  • 세액 차이와 환급: 사업자는 매출에서 발생한 세금에서 매입할 때 발생한 세금이 차감되어 세금이 계산됩니다. 만약 매입 세액이 매출 시 발생한 세금보다 더 많을 경우 세금을 환급받게 됩니다.  

참고로 올해 10월부터는 반려동물의 질병 예방과 치료를 위해 의료비에 대한 부가세가 면제되었습니다. 

 

[2022년 부가세 신고 현황]

부가세 계산기

 

부가세 계산기

 

 

 

부가세 계산 방법

부가세 계산 공식

부가세 계산기

 

부가세 계산기는 여러 포털 사이트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부가세 계산기

 

소비 금액이 50만원일 때 공급가액은 454,545원, 부가세액은 45,455원입니다.

 

부가세 계산기

 

소비 금액이 1백만원일 때 공급가액은 909,091원, 부가세액은 90,909원입니다.

 

부가세 신고 및 주의 사항

부가세 신고 및 납부는 홈택스에서 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부가세 계산기

 

1. 홈택스의 세금신고 > 부가가치세 신고 > 일반과세자 신고를 클릭합니다.

 

부가세 계산기

 

일반 정기신고는 일반과세자 > 정기신고 확정/예정 or 세금비서 서비스를 클릭합니다.

 

 

일반과세자 신고 일자

아래와 같이 공지된 신고 및 납부기간을 확인해서 기간 내에 신고하면 됩니다.

  • 간이과세자의 신고: 1년에 한 번
  • 법인사업자: 1월, 4월, 7월, 10월
  • 일반과세자 중 개인사업자: 7월(1월 ~ 6월까지의 부가세), 1월(지난해 7월 ~ 12월까지의 부가세)

부가세 계산기

 

신고 안내 및 설명

부가세 계산기

 

주의 사항

부가세 계산기

 

부가세 신고는 기한 내에 완료해야 하며 여러 번 신고가 접수되어도 최종적으로 신고된 것만 적용됩니다. 

 

끝으로

부가세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관리한다면 효율적인 사업 운영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. 기간 내에 꼭 신고하시길 바랍니다.

반응형